연구방향
아주대 과학기술정책 · 융합연구센터는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
다학제형 정책연구를 주도하는 전략, 기본방향 설정
가로로 스크롤 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.

과학기술정책·융합연구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다학제형 정책연구센터
- 해외협력
- 글로벌협력: 대학간 교육 및 공동연구 활성화
- 지역연계
- 지역연계형: 산·학·연·관 협력 생태계 활용
- 정책연구
- Think-Tank형: 정책연구소, 정책 대안 제시
전략
- 과학기술
- 공공-민간 협력형으로 과학기술정책의 글로벌 Think-Tank형 연구에 도전 (STP3)
- 융합연구
- 글로벌 산학연관 융합연구 선도 (정보통신정책 + 그린환경정책 + 첨단의료정책)
기본방향
- 연구협력
- 분야간 협업연구 과학기술정책 ↔ 기술융합연구 (정보통신 + 그린환경 +첨단의료)
- 교내협력
- 학제간 융합연구 (공과대학 + 정보통신대학 + 사회과학대학 + 의과대학 + 약학대학)
- 산학협력
- 산학간 공동연구 (분야별 산학협력협의회 + 공동제안, 공동연구, 공동실행)
- 정부협력
- 학연간 정책연구 (중앙정부, 정부출연연구기관, 지자체 출자출연기관, 해외 등)
설립목적
과학기술 관련 교육 및 연구의 초연결 생태계 허브 역할로 국가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
아주대학
중심 전략
- 정책
- Think-Tank형 정책 연구, 매년 과학기술정책 대안 제시
- 정책 :
- 단순한 교육에서 벗어나, Think-Tank형 정책 연구로 매년 과학기술정책 대안 제시
- 연구 :
- 아주대 신산업융합 기술 연구센터를 글로벌 과학기술정책·융합연구센터로 확대 활성화
- 융합
- 정책과 기술 투 트랙, 정책별 연구 플랫폼 활성화
- 대학 :
- 학제간 융합연구(정책과 기술 투 트랙 : 공대, 정통대, 사회대, 인문대 7개 학과 16명 교수)
- 산학 :
- 산학 간 공동연구(판교 CTO 클럽 확대 : 산학연 CTO 협력/공동기획, 공동생활)
- 정부 :
- 학연 간 정책 연구(정책별 연구 플랫폼 :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핵심기술별 정책대안)
비전 및 방향
-
과학기술, 융합 기술의 초연결 생태계 Hub & Spoke 역할을 수행
-
광교-판교-동탄 걸친 글로벌 산업협력 생태계의 구축을 선도
기본방향
- 연구협력
- 분야간 협업연구 (초연결 생태계 : 그리드 ↔ 팩토리 ↔ 가상화 ↔ 웰니스)
- 교내협력
- 학제간 융합연구(공과대학 산업공학과+정보통신대+의과대학+약학대학)
- 산학 협력
- 산학간 공동연구(분야별 산학협력 협의회+공동제안, 공동연구, 공동실행)
- 정부 협력
- 학연간 정책연구(정부 : 정부 출연연구기관, 경기도 : 경기도 경제 과학 진흥원)